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방어 기제 -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심리학적 매커니즘

by 뿌찌대디 2021. 12. 26.

방어 기제

받아들일 수 없는 잠재적 불안의 위협에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실제적인 욕망을 무의식적으로 조절하거나 왜곡하면서 마음의 평정을 찾기 위해 사용하는 심리학적 메커니즘이다. 불안은 자아에 닥친 위험을 알리는 신호다. 불안은 세 가지 자아 간의 갈등으로 끊임없이 야기된다. 자아는 충동적으로 쾌락을 추구하는 원초아와 완벽성을 추구하는 초자아와의 갈등을 감소시키려고 노력한다. 즉 , 불안을 피하려고 노력한다. 프로이트는 모든 행동이 본능에 의해 동기화되는 것처럼 역시 불안을 피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방어적이라고 보았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불안을 원치 않으며 그것을 벗어나기를 원한다. 따라서 인간은 갈등에서 비롯된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방어기제를 사용한다.

무엇이 위협적인지 분명치 않는 상황이나 자아개념을 위협하는 심적 갈등이 있을 때 일어나며, 이성적이고 직접적인 방법으로 불안을 통제할 수 없을 때, 자아를 붕괴의 위험에서 보호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사용하고 사고 및 행동 수단이다.

방어 기제는 성격발달의 수준이나 불안의 정도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지만 두 가지 공통된 특성이 있다. 그 첫 번째로 방어 기제는 사실을 거부하거나 왜곡시킨다는 점이며, 두 번째로 방어 기제는 무의식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유형 : 일반적으로 개인이 심리-정신적 안정, 안전을 위해 사용하는 심리적 도구들 중복괼 수 있다. 평소에는 정상적인 방어기제를 사용하다가도 심리적인 고통(불안) 처하면 흔히 비정상적인 방어기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성숙한 인격이어도 병리적, 혹은 미성숙한 방어기제를 사용할 수 있다. 가장 대표적인 유형으로는 도피, 부정, 억압과 억제, 동일시와 승화, 투사, 전이, 전위가 있으며 고착, 합리화, 또는 반동 형성, 퇴행, 해리, 주지화 등이 있다.

 

1. 부정 

  - 가장 원시적인 방어 기제로서 아동과 심한 정서 장애인들이 주로 사용한다. 위협적인 현실에 눈을 감아      버림으로써 불안을 방어해 보려는 수단이다. 사람들은 불안을 일으키는 현실을 실제로 받아들이기를

    거부한다.

 - 예를 들면, 사랑하는 사람이 죽었을 때 그 죽음 자체를 부인한다든지, 전쟁의 공포를 없애기 위해 전쟁의     비참함에 눈을 감아 버리는 것 등이다.

2. 억압과 억제

 - 프로이드는 억압을 일차적 자아 방어로 간주했는데, 이는 더 정교한 방어 기제의 수단이 될 뿐만 아니라,     불안을 가장 직 적적인 방법으로 회피하기 때문이다. 억압은 의식하기에는 너무나 고통스럽고 충격적 이어

   서, 무의식적으로 억눌러 버리는 것을 말한다.

 - 억압이 다른 방어 기제나 신경증적 증상의 기초가 되는 반면, 억제는 의식적으로 생각과 느낌을 눌러버리

   는 것을 말한다. 즉, '욕구불만'에 의해서 긴장을 해소하기 위하여 자기의 감정이나 또는 부당하다고 생각

   하고 있는 원망 등을 억제시켜 의식의 세계에서 말살하려고 하며, 생각조차 하지 않으려 하는 기제이다.

   억제가 바탕이 된 극단적인 경우가 억압이다.

3. 투사

 - 자신의 자아에 내재해 있으나 받아들일 수 없는 것들은 다른 사람의 특성으로 돌려 버리는 수단이다.

   즉, 자신의 심리적 속성이 타인에게 있는 것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이다.

 - 자기 자신이 화가 나 있는 것은 의식하지 못하고 상대방이 화를 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그 예를 들 수 있

   다.

 - 자기 자신이 위험하거나 용납할 수 없는 원초아의 욕망을 자신의 욕망이 아닌 다른 사람의 욕망으로 이

   야기하는 것이다.

4. 고착 혹은 병적 집착

 - 성격발달의 단계 중 어느 한 단계에 머물러 다음 단계로 발달하지 않음으로써 다음 단계가 주는 불안에

   서 벗어나려 하는 방어 기제이다.

 - 즉, 독립적인 존재가 되기보다는 남에게 의지하고 싶어 하는 아동은 어른이 되면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룰이나 책임을 감당하는 것이 두려워 성장하기를 거절하고 유아기에 병적으로 집착하려는 것이다.

 - 어른다운 행동과 사고를 해야 할 나이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고등학교 수준의 행동 및 사고방식에 머물

   러 있는 경우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5. 퇴행

 - 비교적 단순한 초기의 발달단계로 후퇴하는 행동이다. 즉, 요구가 크지 않은 유아기의 단계로 되돌아가

   안 주려는 방어수단이다. 동생을 본 아동이 나이에 어울리지 않게 응석을 부리거나 대소변을 잘 가리다가

   도 다시 못 가리는 경우도 그 예이다.

 - 퇴행은 고착과는 달리 이미 성장하여 그 성장단계를 지나왔음에도 불구하고 불안이 예상될 때는 무의식

   적으로 이미 지나온 과거의 단계로 다시 돌아감으로써 예상되는 불안에서 벗어나려는 방어수단이다.

6. 합리화

 - 실망을 주는 현실에서 도피하기 위해 그럴듯한 구실을 붙이는 것을 말한다. 즉, 상처 입은 자아에게 더 큰

   상처를 입지 않으려고 설명하여 빠져나갈 합리적인 이유를 만들어 내는 일종의 자기만의 방어 기제이다.

 - 이 방어기제는 가끔 ' 신 포도 반응' 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라 퐁테의 유명한 이솝 우화에서처럼 여우가

   포도를 먹고 싶어 하지만 키가 모자라 딸 수 없어 먹을 수 없는 포도를 쳐다보면서 " 저 포도는 아직 익지

   않아서 시어서 안 먹어."라고 말하는 '여우와 신포도'이야기에서 따온 예화가 여기에 해당된다.

7. 승화

 - 각 개인이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없는 근본적인 충동을 사회적으로 용납된 생각이나 행동으로 표현함으

   로써 적절하게 전환시키는 자아기능이다. 즉, 승화는 자아로 하여금 충동의 표현을 억제하지 않고 충동의

   목적이나 대상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문제가 있는 충동을 유일하게 건전하고 건설적인 방법으로 다루는

   기제라고 볼 수 있다.

 - 자신의 공격적인 충동을 운동경기, 즉 권투경기를 통하여 발산하여 사회적으로 환영받는 위대한 권투 선

   수가 되는 것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반응형

댓글


"); wcs_do();